2025년 부동산정책 및 시장 전망 핵심
1. 수도권-지방 양극화 심화
수도권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은 1~2% 내외로 상승, 지방은 매매가격 보합, 전세가격은 2% 수준 상승이 전망됩니다
인구와 일자리, 인프라가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2030세대의 수도권 선호 현상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 공급 확대 정책
정부는 주택 공급 확대에 중점을 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 크게 늘어날 예정이며, 이는 지역별로 공급 과잉과 미분양 리스크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금리 인하 및 금융비용 완화
2024년 말부터 미국과 국내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면서, 금융비용 부담이 완화되어 주택 수요와 공급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금리 인하 속도와 경제 상황에 따라 시장 변동성은 여전히 높을 전망입니다
4. 전세시장 변화와 갭투자 감소
전세가 하락과 전세 사기, 깡통 전세 이슈로 인해 월세 선호가 증가하고,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도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정부의 전세대출 규제 강화도 시장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5. 노후주택 정비 및 신축 선호
노후주택 비율이 높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축 선호 현상이 뚜렷하며, 뉴빌리지 사업 등 정비사업도 정책적 우선순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