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의 성장 전략 차이
1.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확장과 자산관리 중심
미래에셋증권은 글로벌 자산관리(WM)와 연금 비즈니스, 그리고 IB(투자은행)·PI(자기자본투자)·트레이딩 부문 수익 강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5.
특히, 해외 주식 및 다양한 글로벌 금융 상품에 대한 접근성이 뛰어나며, 인도 등 신흥국 시장 진출과 현지 증권사 인수 등으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25.
초고액자산가(UHNW)를 위한 PWM(프라이빗 웰스 매니지먼트) 부문 신설, 패밀리오피스 등 차별화된 종합 컨설팅 서비스 강화가 특징입니다5.
AI 활용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 투자콘텐츠 제공, 다양한 디지털 솔루션 개발 등 혁신에도 적극적입니다5.
중장기적으로 주주환원율 35%, ROE 10% 이상, 대규모 자사주 소각(2030년까지 1억주) 등 주주가치 제고 정책도 병행합니다5.
2. 삼성증권: 안정성·연금·디지털 경쟁력 강화
삼성증권은 삼성금융그룹의 일원으로서 안정적인 브랜드와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금융상품과 연금형 상품에 강점을 두고 있습니다25.
최근에는 연금 시장 점유율 확대와 디지털 플랫폼(MTS 등)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5.
신규 고객 유치, 디지털 서비스 확대,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 사용자 수 증가 등으로 디지털 자산관리 부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5.
자기자본 확충을 통한 IMA(투자일임업) 사업 진출, 배당성향 확대 등 주주환원 정책도 강화하는 추세입니다6.
비교적 보수적인 성장 전략을 유지하면서도, 시장 변화에 맞춰 디지털 전환과 신규 사업 진출에 점진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56.
핵심 비교 요약
구분 | 미래에셋증권 | 삼성증권 |
---|---|---|
성장 전략 | 글로벌 확장, 자산관리·연금·IB 강화 | 연금시장 확대, 디지털 플랫폼 경쟁력 강화 |
해외 비즈니스 | 적극적 (인도 등 신흥국 진출, 글로벌 네트워크) | 상대적으로 제한적, 국내 중심 |
고객 타깃 | 초고액자산가(UHNW), 글로벌 투자자 | 연금·디지털 투자자, 신규 고객 |
혁신·디지털 | AI·글로벌 자산배분, 디지털 솔루션 | MTS·디지털 서비스 강화 |
주주환원 정책 | 중장기 대규모 자사주 소각, ROE 목표 | 배당성향 확대, 자본 확충 후 환원 강화 |
결론
미래에셋증권은 글로벌 확장과 자산관리, 초고액자산가 대상 서비스, 혁신적 디지털 전략에 집중하며, 공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성장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삼성증권은 연금·디지털 부문 강화, 안정성, 점진적 사업 확장, 배당성향 확대 등 보수적이면서도 실질적인 성장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각 사의 성장 전략은 투자자 성향(글로벌 성장 vs. 안정적 수익)에 따라 선택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